"印, 中의 '제조 강국' 용납 못해...서방의 '중국 견제'에 동참할 수도"
컨텐츠 정보
- 474 조회
- 15 추천
- 목록
본문
[방콕=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 '제조 강국'을 꿈꾸는 인도가 중국의 '제조업 굴기'를 저지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현지 매체 더 힌두가 25일 보도했다.
매체는 정부 관계자를 인용, "인도는 중국이 보조금 지원 품목을 수출해 제조 강국이 되는 것을 용인할 수 없다"며 "'중국제조 2025' 전략에 대응하기 위해 반(反) 덤핑 및 반 보조금 관세 부과, 품질관리명령(quality control orders·QCO) 시행, 중국산 저가품 수입 제한 등 조치를 모두 활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러한 전략적 조치는 앞으로도 유지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은 '제조업 대국'에서 '제조업 강국'으로의 변신을 강조하며 2015년 '중국제조 2025' 전략을 발표했다.
총 3단계 계획으로 구성된 '중국제조 2025'는 1단계(2016~2025년) 제조업 강국 대열 합류, 2단계(2026년~2035년) 독일 및 일본을 넘은 강국의 중간 수준 진입, 3단계(2036년~2049년) 글로벌 제조업 최선두 지위 확보를 목표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첨단 의료기기 ▲바이오의약 기술 및 원료 ▲로봇 ▲통신장비 ▲첨단 화학제품 ▲항공우주 ▲전기차 ▲반도체 등을 10대 전략 산업으로 선정했고, 이들 분야에서 대표 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대규모의 보조금을 지원하거나 저금리 대출 및 세금 감면 등의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인도 역시 2014년 9월 '글로벌 제조 허브' 건설을 목표로 '메이크 인 인디아(Make in India)'를 추진 중이다. 자국 기업을 육성하고 해외 기업의 인도 투자를 장려하기 위해 2020년에는 보조금과 판매액에 따른 세금 감면 등을 골자로 한 '생산연계인센티브(PLI)' 제도를 도입했다.
제조업을 기반으로 2047년 선진국 대열에 합류할 것이라고 인도는 선언했다.
미국과 중국 간 기술·무역 경쟁이 격화하면서 공급망의 '탈 중국'을 원하는 글로벌 기업들이 늘어났고, 인도가 최적의 대안으로 부상했다. 미국과의 안정적인 관계, 정부의 적극적인 제조업 지원 정책, 대규모 노동력이 글로벌 기업들을 인도로 불러들이고 있다.
다만 인도 역시 중국산 제품에 높은 의존도를 보이고 있다. 2020년 6월 인도 북부 라다크 갈완 계곡에서의 양국 군대 간 무력 충돌 이후 중국 기업의 인도 투자 등을 엄격하게 규제해 왔지만 2023/24회계연도(2023년 4월~2024년 3월) 중국은 미국을 제치고 인도의 최대 무역 파트너가 됐다.
인도와 중국의 양자간 무역액이 1184억 달러(약 158조원)에 달한 가운데, 인도의 대 중국 수출은 8.7% 증가한 166억 6700달러, 수입은 3.24% 증가한 1017억 달러를 기록했다.
무역 적자는 직전 회계연도의 832억 달러에서 850억 달러로 확대됐다.
태양광 장비가 대표적인 수입 품목으로, 2023/24회계연도(2023년 4월~2024년 3월) 인도의 태양광 셀 수입량의 56%, 모듈 수입량의 66%가 중국산이었다.
올해 4~5월에는 중국산 태양광 셀·모듈 비중이 전체 수입량의 각각 68%, 59%를 차지했다.
특히 반도체 산업 육성을 강조 중인 인도는 중국 견제를 위해 미국 외 서방 국가들과의 협력 강화를 추진 중이다.
위에서 언급한 관계자는 "중국으로부터의 값싼 수입품이 인도 반도체 산업에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고, 또 다른 소식통은 "중국이 국내 산업에 피해를 주지 않도록 견제하는 서방 국가들의 노력에 동참할 의향이 있다. 다양한 차원의 조치들을 검토 중"이라고 매체에 전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중국이 '독일과 일본을 넘어 강국의 중간 수준에 진입하는' '중국제조 2025' 2단계로 넘어가면 인도 산업은 여러 분야에서 더욱 어려운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며 "때문에 계속해서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사진=바이두(百度)] |
hongwoori84@newspim.com
관련자료
-
이전
-
다음